구글 클라우드의 네트워크 서비스 중 cloud DNS 설정방법 안내입니다.
Google Cloud Platform 접속
네트워크 서비스의 'Cloud DNS' 선택합니다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오른쪽 '영역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DNS 영역 만들기 화면입니다.
차례대로 항목을 입력하세요.
영역 이름은 기존 영역 이름과 중복할 수 없고 영어 이름으로 만 입력 가능한 것 말고는 주의사항이 없습니다.
DNS영역이 만들어지면 상기와 같은 화면으로 바뀝니다.
다음으로는 레코드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방금 만든 DNS 영역에서 '레코드 모음 추가' 버튼을 클릭하세요.
www 라는 A레코드를 추가했습니다.
그다음, IP주소를 실제서버의 공인ip를 입력하세요
다음 화면에서 A레코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도메인 관리 페이지에서 구글 DNS로 정보를 변경합니다.
저는 가비아에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는데... 네임서버 정보 변경을 통해 구글 DNS로 변경했습니다.
*주의사항*
운영 중인 사이트의 네임서버 변경 시 캐시로 인해 변경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으니 기존 설정을 유지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세요.
이상입니다.
'IT > OS·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OS 델타업데이트 vs 콤보업데이트 (0) | 2018.08.27 |
---|---|
SimpleDnsCrypt로 DNS 암호화 (DNS-over-TLS) 하기 (0) | 2018.05.06 |
CentOS 무료SSL Let’s encrypt 설치 및 자동 갱신 방법 (0) | 2017.11.27 |
애플, 맥용 신형 운영체제 '하이 시에라' 설치 (0) | 2017.09.30 |
CentOS 리눅스 서버 시간 설정 및 타임존 변경 (0) | 201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