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지역에서 응답이 빠른 DNS 찾아 설정함으로써 유튜브나 구글, 네이버 같은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을 빠르게 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DNS 벤치마킹 유틸리티인 NameBench를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합니다.
NameBench 실행하기
다운로드 사이트: https://code.google.com/archive/p/namebench/downloads
namebench-1.3.1 버전 중에 본인 OS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합니다.
저는 윈도우PC를 사용 중이므로 namebench-1.3.1-Windows.exe 를 받았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namebench 프로그램을 개선할 필요가 없는지 2010년을 마지막으로 버전업이 없다는 점이네요.
namebench 을 실행합니다.
벤치마킹하고 싶은 DNS의 ip를 ,(콤마)로 구분해 쭉 나열하고 아래 Start Benchmark 를 누릅니다.
※ 벤치 속도 개선을 위해 Include best available regional DNS service에서 체크를 뺀다
한참 후 상기와 같은 벤치 결과를 표시됩니다.
저는 원래 빠른 DNS를 사용하고 있어서. 따로 개선 효과를 표시하지 않았지만
느린 DNS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namebench가 추천하는 DNS로 변경시 얼마만큼의 속도 개선이 이뤄지는지 %로 표시를 해줍니다.
벤치마킹 결과 페이지에서 우측 상단에 표시된 DNS 목록이 응답속도가 가장 빠른 DNS입니다.
이 정보를 가지고 본인의 PC에서 DNS를 변경해 줍니다.
DNS 설정하기
추천받은 DNS를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의 DNS항목에 입력해 줍니다.
이후 랜카드를 재시작하거나 PC를 재시작하면 DNS가 적용됩니다.
이것으로 끝입니다.
공유기를 사용하시면 공유기 DNS도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는 단말기들도 빠른 DNS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 *
아래는 추천 DNS 목록입니다.
Google DNS
기본 DNS: 8.8.8.8
보조 DNS: 8.8.4.4
Cloudflare DNS
기본 DNS: 1.1.1.1
보조 DNS: 1.0.0.1
SKB DNS
기본 DNS: 210.220.163.82
보조 DNS: 219.250.36.130
KT DNS
기본 DNS: 168.126.63.1
보조 DNS: 168.126.63.2
LG U+ DNS
기본 DNS: 164.124.107.9
보조 DNS: 203.248.242.2
OpenDNS
기본 DNS : 208.67.222.222
보조 DNS : 208.67.220.220
※ 성격이 급하신 분들은 일반적으로 가장 빠른 DNS인 1.1.1.1 을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끝.
'IT > 웹·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미즈넷, 아고라 서비스 종료 (0) | 2018.12.06 |
---|---|
네이버 ‘웨일 WHALE’ 브라우저에 대한 소고(小考) (2) | 2018.11.15 |
Favicon 파비콘 아이콘! 완벽하게 만드는 방법 & 적용방법 (1) | 2017.11.23 |
WordPress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0) | 2017.09.11 |
다음(DAUM) 메일이 개편된 메일을 선보인다 (1) | 2016.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