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로 종종 보게 되는 "ERR_CERT_AUTHORITY_INVALID"에러는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 개인정보 보호 인증서 또는 잘못된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비슷한 에러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NET::ERR_CERT_AUTHORITY_INVALID',
'ERR_CERT_COMMON_NAME_INVALID',
'NET::ERR_CERT_WEAK_SIGNATURE_ALGORITHM',
'ERR_CERTIFICATE_TRANSPARENCY_REQUIRED'
'SSL 인증서 오류'
상기 에러는 비슷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아래 그 원인과 대처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커가 ○○○○○○○에서 정보(예: 비밀번호, 메시지, 신용카드 등)를 도용하려고 시도 중일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NET::ERR_CERT_AUTHORITY_INVALID
* * *
- 인증서 만료기간이 지나서 폐기된 경우 (가장 많음)
- 공인 인증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인증서인 체인 인증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 공인 인증서이지만, 구형 브라우저라서 루트 인증서를 적절하게 보유하지 못한 경우
- 인증서 발급자로부터 인증서 조회(해외)가 불가한 폐쇄망 환경
- 일부 백신에서 https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
* * *
※ 인증서 미발급 혹은 만료기간이 지나서 폐기된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 사항을 확인해 보세요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 날짜와 시간이 올바르게 설정된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웹페이지를 처리한다.
윈도우 10에서는 따라서, 사용 중인 기기의 날짜와 시간이 올바르게 세팅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방법2: 백신 설정 확인
백신 설정중 'HTTPS 검색' 또는 'HTTPS 보호' 기능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인증서에 문제없는 것이라면 백신의 기능 오류를 의심해 본다.
잘못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에 의해 HSTS (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나 인증서 처리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프로그램 사용을 중단시키고 사이트에 접속해보거나 브라우저의 시크릿 모드로 접속해 보면 확장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시크릿 모드로 사이트에 접속해 보면 확장 프로그램에 의한 오류인지 확인할 수 있다.
브라우저 캐시는 성능에 좋은 선택이지만 문제가 생기면 상황 파악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어떤 설정을 바꾸면 마지막은 반드시 브라우저 캐시 초기화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 스마트폰
1. 브라우저 설정에 들어가 캐시를 초기화한다.
2. 사이트에 접속해 본다.
○ 윈도우 PC
1. 윈도우키 + R 로 커멘트 창(cmd)을 띄운다
2."ipconfig /flushdns" 을 입력하여 DNS 캐시를 초기화한다
3. 사이트에 접속해 본다
DNS 설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구글이나 국내 ISP 업체의 공인된 DNS를 지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DNS 설정 방법: https://www.ihee.com/367
[참조]
구글 고객센터: https://support.google.com
https://ko.windows10updater.com/err_cert_authority_invalid-chrome
끝
'IT > 오류·장애·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페이지를 번역할 수 없음 오류 (0) | 2020.02.13 |
---|---|
ERR CONNECTION RESET 오류 (0) | 2020.01.12 |
ERR_NAME_NOT_RESOLVED DNS 오류 (4) | 2019.10.13 |
R6016 크롬 런타임 오류 대응 방법 (0) | 2019.08.22 |
Windows 업데이트 오류 80073712, 80240016 (결론:정품윈도우 사용하세요) (0) | 2016.04.22 |